ESG 평가에서 최하 등급인 D 등급을 받아들인 파라다이스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온카판정보팀 조회 75회 댓글 9건본문
C 등급을 유지했으나 올해는 D 등급으로 떨어지며 낙제점을 받았습니다.
특히 파라다이스는 이번 해 대기업집단에 지정되고 유가증권(코스피) 시장에 입성했음에도 ESG(환경·사회·지배 구조) 경영은 등한시하는 모습이고 파라다이스는 한국 ESG 기준원(KCGS)이 지난 25일 발표한 2024년 ESG 평가 결과에서 통합 D 등급을 부여받았으며, 각 부문별로는 환경·사회 각 D 등급, 지배 구조는 C 등급입니다. 한국 ESG 기준원은 각 기업들의 ESG 등급을 S, A+, A, B+, B, C, D 등 7개로 분류하며 D 등급이 가장 낮은 등급에 해당하고 D 등급은 환경, 사회, 지배 구조 모범규준이 제시한 지속 가능경영 체계를 거의 갖추지 못해 비재무적 리스크로 인한 주주 가치 훼손이 우려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올해는 평가대상 유가증권(코스피) 상장사 794개사 중 절반 이상이 B 등급 이상을 부여받았고, D 등급은 210개사(26.4%)로 집계됐으며, 파라다이스는 올해 한국 ESG 기준원 평가에서 코스닥 상장 기업으로 분류됐지만 지난 6월 말 코스피 시장 입성에 성공했습니다. 이를 반영하면 한국 ESG 기준원의 코스피 상장사 ESG 평가 기업은 795사, D 등급은 파라다이스를 포함해 211개 사로 볼 수 있습니다. 올해 ESG 평가 통합 D 등급을 받은 코스피 상장사는 지난해 198개 사에서 13개사가 늘어났다. 여기에 파라다이스가 포함됩니다.
지난해 통합 C 등급이었던 파라다이스가 올해 D 등급을 받게 된 이유는 사회(S) 부문의 평가가 전년 대비 한 계단 떨어진 D 등급을 받았기 때문이고 환경(E) 부문은 등급을 공개한 2020년부터 쭉 D 등급을 이어오고 있으며, 지배 구조(G)는 2021년 B+에서 2022년 C 등급으로 내려앉은 후 올해까지 C 등급을 유지 중입니다. ESG 평가 기준이 강화된 측면도 있으나 ESG 경영이 강조되는 시대 흐름에 전혀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운 모습이고 또 주류·담배·카지노 관련 기업은 ESG 관점에서 부정적인 산업이나 기업으로 분류된다는 점에서 카지노를 주력 사업으로 삼고 있는 파라다이스 역시 일부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습니다.
다만 파라다이스 외에 카지노를 주력 사업으로 삼고 있는 강원랜드나 그랜드코리아레저(GKL)의 경우 한국 ESG 기준원 평가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고 강원랜드는 2019년 통합 B+에서 2020년 통합 A로 오른 후 이를 쭉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환경과 사회 부문에서 A+를 받았다. GKL 역시 2020년 통합 B+로 한 단계 올라섰고, 2022년에는 통합 A 평가까지 받았고 올해 GKL ESG 등급은 환경 B, 사회 A, 지배 구조 B+를 받아 통합 B+를 기록했습니다. 파라다이스가 동종 업계 경쟁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ESG 경영에 관심이 높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대목이고 실제로 강원랜드와 GKL은 지속 가능경영보고서를 출간하고 이를 실천하려 힘쓰고 있지만 파라다이스는 ESG 관련 내용을 담은 지속 가능경영보고서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댓글목록
손가락3개뿐님의 댓글
손가락3개뿐작성일
파라다이스가 ESG 경영을 등한시하는 모습이 안타깝네요 ㅠㅠ
쿠나이님의 댓글
쿠나이작성일
D 등급을 받은 것은 기업에 큰 경고 신호아닌가요..
말달려님의 댓글
말달려작성일
기업들이 이에 맞춰 변화를 주지 않으면 결국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회못먹는다님의 댓글
회못먹는다작성일
지속 가능경영보고서를 발행하지 않는 기업은 신뢰를 잃을 위험이 크네요;;
에크님의 댓글
에크작성일
파라다이스의 변화가 필요해보이네용??
라우이님의 댓글
라우이작성일
좋은정보감사요
해공님의 댓글
해공작성일
아이고ㅠ 친구들은 긍정적인 얘기가 들리던데
화이팅
올라프영님의 댓글
올라프영작성일
d등급이라니 ㅠ.ㅠ.ㅠ
오리오리박사님의 댓글
오리오리박사작성일
강랜은 A구나...